
(클릭하면 확대됨)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Windows 7 테마입니다. 보시다시피 고전 테마입니다.
그런데 잘 보시면 두 개의 폰트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눈치채셨을 겁니다.
"응? 나눔고딕인데 왠 못보던 일본어 폰트가 연결되어 있지?"
Windows 7 일본어판을 써보신 분이라면 저 알파벳이 익숙하실 텐데, 바로 Meiryo UI라는 폰트입니다.
Meiryo 폰트에 비해 일본어의 자폭이 고정폭이 아니고 가변폭이라서 폰트 개발자들이"UI에 맞춤형이다"라고 생각했는지 "Meiryo UI"라고 이름을 붙인것 같습니다.

Meiryo UI
나눔고딕의 히라가나, 가타가나를 써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굉장히 멋집니다. 빈 넓은 글자폭 속에 쬐그마한 글자가 덩그러니 들어있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는데, 문장을 써 놓고 보면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그래서 저는 Windows 7 일본어판의 경험이 있어서 Meiryo UI를 어떻게든 FontLink로 나눔고딕과 연결해 보고자 레지스트리 에디터를 건드리게 되었는데, 이십 수 번의 로그오프와 로그온을 거듭한 끝에 적당한 수치를 찾아냈습니다.
(왠 수치?) 아래 방법대로 따라하시면 수치에 대한 의미를 알게 됩니다. 'ㅅ' FontLink의 사용방법입니다.
맨 먼저 나눔고딕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혹시 없으시다면 오른쪽의 사이드메뉴에서 맑은고딕 받는 링크를 따라가 주세요~ ^_^;
그리고 바탕 화면에 오른쪽 클릭하여 개인 설정 > 창 색으로 들어가서 모든 폰트 항목을 Meiryo UI로 바꿔 주세요.

그리고 레지스트리 에디터를 기동합니다.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Fontlink\SystemLink 키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Meiryo UI"를 더블클릭합니다.
그리고 "Meiryo UI"를 더블클릭합니다.

폰트파일의 정확한 이름은 제어판 > 글꼴 에서 나눔고딕 항목을 더블클릭하면 나오는 Windows 폰트 뷰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36,112"는 "값 이름"에 나타나는 그 엄마뻘 되는 폰트에 비례해서 나타나는 그 폰트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수치의 정확한 의미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콤마를 중심으로 양 옆의 값의 차이가 작을수록 폰트가 작게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Meiryo UI Bold도 더블클릭해서 열고 MALGUN.TTF의 자리를 나눔고딕의 굵은체로 바꿔서 넣어 주면 됩니다.
나눔고딕은 Bold로 입력하면 단순히 옆으로 퍼지는 글꼴이 아니고 굵은 글꼴이 따로 존재합니다. ExtraBold도 있더군요 'ㅅ'
나눔고딕은 Bold로 입력하면 단순히 옆으로 퍼지는 글꼴이 아니고 굵은 글꼴이 따로 존재합니다. ExtraBold도 있더군요 'ㅅ'
모든 과정이 이로써 끝이 났습니다. 로그아웃한 후 다시 로그온하면 변경된 폰트로 나옵니다.